[뉴스초점] 생활 속 인공지능 AI, 어디까지 발전했나?<br /><br /><br />최근 인공지능,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분야와 AI 결합이 시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진화를 거듭하며 우리 일상생활 속에 파고들어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AI에 대한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,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수영 카이스트 교수,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국내 이동통신사를 비롯해 IT·제조기업 등이 인간들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인공지능, AI를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. 우리 생활 속 어디까지 확산이 됐나요?<br /><br />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AI가 의료 분야에서는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고 하죠? 실제 어떻게 활용이 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카카오택시나 내비게이션, 유튜브 영상 추천까지 모두 AI 기술이 적용된 거라고 하던데요. AI 적용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? 실제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도 설명해주세요.<br /><br /> 이뿐만 아니라 호텔·식당·교육 등 생활영역 곳곳에 AI가 상용화되고 있는데요.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일각에서는 곧 AI가 인간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해서는 어떤 지혜가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AI가 혁신 성장의 큰 동력으로, 또 미래의 유망한 먹거리로 꼽히기 시작한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요. 세계 각국의 인공지능 전략은 좀 어떤가요?<br /><br /> 세계 각국의 AI 발전 속도를 볼 때 국내 AI 기술은 어느 수준으로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말씀하신 것처럼 미국이나 중국보다는 다소 늦었지만 우리도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 육성 전략이 나왔습니다. 2030년까지 디지털 경쟁력 세계 3위, 인공지능을 통한 지능화 경제 효과 최대 455조 원 창출, 삶의 질 세계 10위 달성을 목표로 잡았습니다. 정부의 AI 전략, 어떤 평가가 나오고 있나요?<br /><br /> 앞으로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강국으로 가기 위한 최우선 과제는 무엇이라고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